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윤규 변호사 - 공부루틴과 시간관리

공부루틴 만들기 (심리, 보상, 환경 통제)

루틴을 만드는 것은 시작과 끝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심리 통제

  • 이제 공부가 시작된다. 혹은 이제 공부가 끝났다. 라는 느낌이 드는 행위를 해야한다.
  • 매일 아침 커피를 먹으면 공부시작을 알리는 것이다.
  • 매일 밤 블로그 글을 완성하면 공부가 끝난 것이다.

 

보상통제

  • 할 바를 다 했을때는 쉬어줘야 한다.
  • 웹툰보기, 음악 듣기, 유투브, 운동 등 그 무엇을 정하든 상관 없다.

 

환경 통제

  • 페이스 메이커를 만든다. 개발자 채용을 서두른다.
  • 카톡 알림 제거, 스마트폰 통제, 유투브 통제로 환경을 통제한다.
  • 개발자 특성상 컴퓨터를 통제할 수 없다. 공부는 회사에서만 진행한다.

 


생활관리

수면관리

  • 자신의 최소 수면시간을 파악해야 한다.
  • 낮잠 15~20분을 잔다.

공부시간관리

  • 계획과 실행, 점검이 필수가결하다.
  • 실행에는 INPUT과 OUTPUT이 존재한다.
  • 스펀지데이(토요일 일요일 중 하루를 비우고 못채운 공부를 진행한다.)
  • 일어나자마자 전날 것을 살펴보고 점검을 하고 분류만 한다. 공부를 바로 시작하지 않는다.

에너지 소포가 적은 공부(전날 것 복습)와 에너지 소모가 큰 공부(가장 공부가 잘되는 시간)

내가 어떤 공부가 에너지 소모가 큰지 작은지를 파악해야 한다.

 

최소기간 공부계획표 (이것보다 많이 하는 것이 최대 공부시간)

저녁 이후는 집중력이 높아져서 에너지 소모가 심한 공부는 이때한다.

스펀지 데이가 있듯이 스펀지 타임을 만들어서 빈 시간을 만들어 놔야한다.

하루하루 점검하는 시간을 반드시 두어야 한다.

 


 

시간 관리의 기본 지식

 

공부의 밀도를 높이는 방법 - 같은 시간을 공부해도 효율을 높이는 방법

 

집중의 정의

  • 집중의 뜻은 "한 가지로 모은다" 라는 의미이다.

방해요소를 없앤다.

  • 하고 싶은게 있으면 깔끔하고 넉넉하게 3시간 놀고 다시 돌아온다.

분량으로 계획을 정한다. 

  • 시간 계획은 시간을 신경쓰게 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 분량 계획은 수행 완료까지 일어나지 않겠다는 미션부여가 가능하다.

목표를 뚜렷하게 정한다.

  • 내가 지금 정확히 어떤 일을 해야하는 지를 인지하면 집중력이 올라간다.
  • 세부적인 목표수립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단조로운 패턴

  • 이벤트를 최대한 없애고 패턴을 만들어야 한다.
  • 아침 점심 저녁 밤 공부로 진행한다.

단절된 시간

  • 오늘 공부한 것이 내일 다시 보면 흐름이 끊긴다. 어떻게 단절된 시간을 대비할 것인가
  • 단절된 시간에는 생각할 키워드를 무조건 하나 잡고 일어난다.
  • 잘때도 키워드를 하나 안고 잔다.
  • 하루를 시작할때 어제 일을 5분정도 생각하고 일을 시작하자.

복습

  • 챕터가 끝날때 복습
  • 하루가 끝날때 복습
  • 대충 읽어도 답이 보이지 않고, 읽으면서 이해해야 하는 경우 내가 모르는 내용인 것이다.

한 과목을 조져라

  • 준비하는 시간과 복습이 길어지는 것을 판단하면, 하루에 길게 파고드는 것이 좋다.
  • 기출이 제일 중요하다.

기록을 해라

  • 내 공부 시간에 대한 기록은 필수이다.

암기력 공식

  • 목표점수 -> 필요한 공부량 -> 공부계획
  • 짧은 주기 x 반복 = 암기력 공식
  • (현재상태 ~ 미래목표) / 남은 기간 = 하루에 할 양

 

 


 

Reference

 

https://www.youtube.com/watch?v=L6XXwOP9KAA&list=PLUJ2dfg-s59lunFWnkOp_WkxTouH0Pkw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