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생각

(6)
지혜없는 지식은 쓰레기다. 지혜와 지식은 무엇일까? 이와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인 데이터와 정보, 지식, 지혜에 대해 정의하고 우리가 진정 추구해야 할 지혜에 대해 생각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데이터: 의미없는 기록 의미 없는 글을 나열을 데이터라고 한다. 정보: 데이터 + 분석 의미 없는 글에 분석이 들어가면 우리는 이걸 비로소 정보라고 한다.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이다. 지식: 정보 + 구조화 많은 정보를 구조화하면 비로소 지식이 된다. 어떤 정보의 전체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지식을 가진 상태이다. 외부의 정보가 내부에서 온전히 자리 잡으려면 구조화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지식이라 한다. 외부의 지식이 내부의 지식이 되려면 내 안에서 구조화를 받아드려야 한다. 지혜: 지식 + 경험 지식은 경험을 동반해야 비로소 ..
당신의 정신은 온전히 당신의 것입니까? 내가 어떤 것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은 그것의 Lift Cycle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즉, 생성(태어남)과 소멸(죽음)에 걸처 모든 것을 알고 온전하게 관리할 수 있을 때 우리는 그것을 완전히 소유한다. 그렇다면 너는 너를 온전하게 소유하고 있는가? 뇌과학과 정신분석학에 따르면 우리의 모든 생각과 행동은 자의식이 아닌 무의식에서 나오는 것 생각할 수 있다. 무의식에서 어떤 자극이 입력으로 들어오면 그에 맞는 출력으로 말하고 행동하도록 되어있다. 나는 나의 뇌 그 자체이며, 나의 무의식이다. 나 = 뇌 = 무의식 무의식이 생각을 만들고 생각은 말과 행동을 만들어 낸다. 그런데 여기서 이 반대 또한 가능하다는 역치이론이 수많은 사례를 갖고 있다. 행동은 말을 바꾸고 말은 생각을 바꾸고 생각은 무의식을 바꾸..
선택이 후회될때, 망설여질때 이 글을 읽으세요. 선택을 후회하거나, 선택을 망설여하고 있을 미래의 저에게 이 글을 납깁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엽 - 선택과 책임 https://www.youtube.com/shorts/9sikdyf8Dcc [집사부일체] '왜 선택은 이분법이어야 해' 최민수, 명불허전 '명언 폭격기' https://www.youtube.com/watch?v=CuyGgHHEHlY 선택으로 후회하거나 망설여지는 미래에 저에게 이 글을 납깁니다. 오늘은 두 가지 좋은 영상을 들고 왔습니다. 선택이 후회될때, 망설여질때 해답이 될 수 있을 듯 합니다. 우리의 인생은 선택의 연속입니다. 옳은 선택은 내 삶의 질을 상승시키고 그렇지 못한 선택은 내 삶을 하강 시킵니다. 즉, 선택만 잘한다면 우리는 우리의 목표에 빠르게 도달하고 우수한 삶을 영위할..
부자에게 속지마라! 부자를 믿지마라! 부자에게 속지마라! 부자를 믿지마라! 부자들의 말을 그대로 믿지마라! 우리가 자기계발 서적을 읽거나 유투브를 보면 참 그럴싸한 말들이 많다. 아래는 흔히 말하는 부자가 되기 위한 방법이다. "돈을 쫒지마라." "겸허해야 한다." "인간관계를 소중히 여겨야한다. " "돈은 어느 순간 따라온다." "하고 싶은 일을 해야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결과를 냈을때 그 결과가 왜 이루어진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부자 또한 그런 경우가 많다. 소싯적을 기억하지 못하고 성공한 이후 우선순위가 바껴 위와 같이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혹은 위선을 떨고 있거나. 비상식적 성공법칙의 저자 간다 마사노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선 돈부터 벌어야 한다." "성공은 학력과 능력, 인맥, 자금과 관련이 없다. 그 방법을 아는..
타이탄의 도구들: 좌절감과 조급함 "타이탄의 도구들"에서.. 눈에 보이는 발전이 없을 때 나타나는 좌절감은 탁월함을 향해 가는 과정에서 필수 불가결한 일이다. 탁월함은 좌절감에 대처하는 방법을 찾아낸 사람들이 가는 길이다. 우리가 실패하는 이유는 좌절감이 아닌 조급함 때문이다. 가장 빨리 결승선을 통과하는 사람은 가장 많은 거리를 뛰어온 사람이기 때문에 좌절감, 초조함, 조급함을 극복하는 비결은 간단하다. 일터에 가서 일을 하고, 집에 가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그리고 결심한 것은 절대 의심하거나 바꾸지 않는 것이다. 일체의 타협도 없이. 나의 생각 목표와 계획을 세울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변명의 여지를 없애는 것이다. 계획을 세울 때에는 해야할 것과 하지 말것을 명확히 구분 해야한다. 탁월함은 (생각-행동-결과-보완) 의 반복이다. ..
어려운 책을 읽는 방법 필수 해설서를 보고 어려운 책으로 넘어가라 통독을 통해 맥락을 파악하며 빠르게 읽어보라 2회 정독 하라. 이때 개념을 정리하고 내 의견을 메모하라. 주요 구문을 필사하여 따로 정리하라. 추천 같은 주제의 책을 여러권 읽어라. 이해하기 좋고 조금씩 다르게 풀어 써서 넓게 이해하게 된다. 알게된 내용을 가르치거나 토론하라. 가르치는 공부법이 최고다. 글쓰기는 독서법과 공부의 완성이다. 내가 알게된 내용이나 깨달은 점을 블로그에 써라. 지식은 (생각, 비판, 수정, 발표)의 사이클을 돌아야 비로소 진짜 지식이 된다. 그래서 위의 필수와 추천은 이 사이클을 더욱 효과적으로 돌 수 있게 해주는 커리큘럼이다. 필수와 추천의 내용을 따라하면 문장력, 표현력, 사고력 그리고 나를 돌아보는 성찰능력을 기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