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생을 바꾸는 생각 정리 스킬
- 생각정리 툴의 종류와 사용법
- 아이디어 정리
- 시간 정리
- 목표 정리
- 문제 정리
모든 문제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이며, 이 차이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이 문제해결이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이런 식의 막연한 느낌 말고 진짜 정체를 파악해야한다. 바쁘게 움직이는 자신을 보면 문제 해결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라고 착각하고 있다. 문제를 해결할 때는 경험과 직관에 따른 행동도 필요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전략과 계획이 더 중요하다. 전략과 계획을 제대로 세우기 위해서는 문제의 정의부터 올바르게 정립해야 한다.
문제 해결의 시작은 그 문제의 정의를 올바르게 정립하는 것이다. 그 후 그에 맞는 전략과 계획을 세워야 한다.
문제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도 문제를 더 잘 이해하는 요소이다. 문제는 시점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 발생형 문제(과거의 문제): 이미 발생한 과거의 문제
- 어떤 원인으로 인해 그 기준에서 이탈하거나 미달되어 문제가 이미 발생한 것이다.
- 눈에 보이는 문제이며 해결하는 포인트는 신속함이다.
- 빠르게 문제를 인식하고 원인을 파악해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만들면 된다.
2. 탐색형 문제(현재의 문제): 지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는지 탐색 해야할 문제
- 현재 자신을 탐색, 성찰하며 어떤 것이 문제인지 판단해야 할 문제이다.
- 발생형 문제가 되지 않도록 지금의 문제를 탐색하여 문제로 인식하는 것이다.
- 건강검진과 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탐색해 대비하는 것
- 탐색형 문제를 찾을 때는 SWOT 기법이나 로직 트리 등이 유용하다.
3. 설정형 문제(미래의 문제): 현재 심각한 문제는 아니지만, 기준을 높여 의도적인 차이를 만들어서 문제라고 설정하는 문제
- 문제라고 했지만 미래에 이루고 싶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다.
- 내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며 반드시 하겠다고 다짐하는 것이 중요하다
- 목표를 세우는 대표적 툴로 만다라트와 버킷이스트가 유용하다.
SWOT 기법의 정의: 현재 혹은 미래에 발생 가능한 잠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


1. Treat, 외부 위협
외부 환경은 우리의 의지나 능력과 상관없이 변화한다.
외부에서 나에게 맞지 않는 정책, 상황, 현상, 트렌드 등이다.
2. Opportunity, 외부 기회
외부 환경은 위협이 되기도 하지만 기회로 작용하기도 한다.
외부에서 나에게 딱 맞아 떨어지는 정책, 상황, 현상, 트렌드 등이다.
3. Weakness, 내부 약점
내부의 약점을 냉철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떤 문제를 해결하거나 전략을 구상할 때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약점은 인정하고 극복하고 보완해야 한다.
4. Strength, 내부 강점
강점을 찾을 때는 자신에게만 있는 점을 발견하는 게 중요하다.
자신과 타인, 자사과 타사를 차별화 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바로 그 강점이 시장에서 위치 잡기, 즉 포지셔닝 요인이자 성공 포인트가 될 수 있다.
강점은 극대화 해야한다.
순서는 TOWS(토우스) 순서가 가장 좋다. 대부분 문제는 외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 내부 환경(강점, 약점)
- 외부 환경(기회, 약점)
SWOT를 분석하는 목적은 전략을 세우기 위함이다.
원려근우 : 먼 앞날을 걱정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장래에 근심이 생긴다.
<손자병법>
전략이 있는데 전술이 없으면 이기기가 지극히 어렵고,
전술이 있는데 전략이 없으면 패배를 자초하게 된다.
전략(방향, 생각)
큰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계획을 말한다.
방향을 제시하는 일련의 계획이 바로 전략이다.
전술(행동, 능력)
전략을 실행하는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이다.
행위, 목적, 일정, 결과 이 4가지 요소가 갖춰져야 하나의 전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전략은 전술이 어떤 곳을 지향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나침반이라고 할 수 있다.
SWOT 전략 수립: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의 조합
1. TW 전략(위협 약점 전략) - 얼마나 성공하는지를 결정
외부의 위협은 약점과 만나지 않도록 피해야 한다. 보완해 방어를 취해야 한다.
2. TS 전략(위협 강점 전략)
외부의 위협은 강점은 내세워 정면 돌파 해야한다.
3. OW 전략(기회 약점 전략)
외부의 기회는 약점을 보완할 기회이다. 흐름에 올라타야 한다.
4. OS 전략(기회 강점 전략) - 얼마나 성공하는지를 결정
외부의 기회는 강점을 더욱 극대화 시키는 작용을 한다.

How 사고의 함정에서 벗어나자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우선 대책부터 세우고 싶어 한다. "그래서 어떻게 할건데?" 라는 사고는 오히려 문제를 파악하기 힘들어 질 수 있다. 도움 안 되는 쓸모없는 대책을 세울 수 있다는 점이다.
투자된 리소스는 시간과 노력이며, 쓸데없는 낭비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 문제의 본질적 원인, 근본을 파헤치는게 중요하다.
문제 해결 프로세스는 다음 4단계를 따른다.
1. 문제가 무엇인지 인식 - (현황파악)
2. 문제가 왜 발생했는지 분석 - (원인분석)
3. 진짜 문제가 어디에 있는지 찾아내기 - (진짜 원인 찾기)
4. 어떻게 해야 할지를 생각해서 문제를 해결- (해결방안)
이때, 4의 해결방안부터 생각하지 않고 1, 2, 3을 잘 진행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1. 제로베이스부터 천천히 차근차근 생각하기
업무를 하다보면 데이터와 경험이 쌓이게 된다. 업무 패턴이 반복되면 자역스럽게 일하는 방식이 생긴다. 직관에만 의존하게 된다. 그래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달려온 경영진이나 높은 성과를 자주 낸 사람에게서 보이는 패턴이다.
기존 관념에서 벗어나려면 '제로베이스'에서 다시 생각해야 한다.
감, 경험, 직관에 의존하면 낭비가 발생한다. 이전의 방법들의 해결법은 현재 상황에 맞지 않을 수 있으며 문제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지 않을 수 있다. 근본 원인을 파고 들어 해결법에 급급하지 않으며 기존 관념에서 벗어나 제로 베이스에서 다시 생각해야 한다.
2. 시선을 한두 단계 높여서 바라보기
문제해결 능력을 강화하려면 문제에 대한 책임감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주인 의식과 책임감을 가져야 문제해결에서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다. 그럴려면 관점을 전환해야 한다. 자기 직급보다 한 단계 위를 보게 되면 효과적이다.
나무보다 숲을 보며 내 직급의 한 단계 위에서 프로젝트를 보면 된다. 책임감과 주인 의식을 높여서 보야야 한다. 즉, 관점을 바꾸라는 말이다.
3. 리더의 사고체계부터 바꾸기
리더의 업무 지시가 현황과 원인을 충분히 설명하지 않은 채 "그냥 해!"라고 한다면 문제가 된다. 그러면 부하직원은 생각을 하지 않고 수동적으로 일하게 된다.
상사는 부하에게 현재 상황과 문제의 원인이 이러하니 대책을 함께 생각해보자고 리드 해야한다.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 거꾸로 현재 상황과 원인을 먼저 분석해보자는 식으로 소통하는 것이 좋다. 즉, Top-Down 보다 Bottom-Up으로 소통해야 한다. bottom-up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에게 상황과 문제 원인, 대책을 함계 상의하고 소통해야 한다. 그럼 이 프로젝트에 대한 책임감과 주인의식이 올라간다.
리더가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사람이라면, 다같이 소통하는 사람이라면
능동적으로 생각하고 움직이는 조직이 된다.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있는 조직이 된다.
그렇지 않으면 무질서, 산만, 방향손실을 야기하며 결국 해체된다.
로직트리을 사용해야 하는 3가지 이유
로직트리 - 마인드맵의 한 종류로 논리적으로 생각을 정리하기에 좋은 툴
1. 일의 전체상이 한눈에 보인다.
회사에서 문제를 잘 해결하는 사람들의 특징 중 하나는 일의 전체상이 머릿속에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없고 우리의 뇌는 키워드를 통한 맥락을 기억하는 것에 최적화 되어있다. 즉, 전체를 이해하려면 전체 구조를 이해하고 각 키워드에 대한 이해와 암기가 되어 있으면 많은 내용을 머리에 담을 수 있다. 큰 그림이 한눈에 보여 지루하지도 않다.
2. MECE 적으로 황금 비율 카테고리를 만들 수 있다. (동일한 깊이에 존재하는 것은 그 크기가 유사하며 서로 독립적이다.)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는 상호 배타적이고 전체로서도 빠뜨리는 것이 없다는 뜻이다. 서로 중복되지도 누락되지도 않으며 뒤죽박죽 섞여 있지도 않은 상태를 바로 MECE라고 부른다.
대표적으로 MECE 를 대표하는 것이 두가지 존재한다.
- 경영학 3C (Company 자사, Customer 고객, Competitor 경쟁사)
- 마케팅 4P (Product 상품, Price 가격, Place 유통, Promotion 판매촉진)


3. 다른 생각정리 툴들과 함께 쓰일 수 있는 근본이다.
로직트리는 생각정리의 근본이다. 마인드맵 / 로직트리 / 피라미드 구조를 만드는 것과 원페이지 문서, 프레젠테이션, 목차와 구조를 설계하는 것 모두를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중심토픽, 주요토픽, 하위토픽 순서로 진행되어 키워드 별 정리가 되며 이는 뇌과학 적으로도 암기와 이해의 정도가 올라간다. 즉, 스스로 정리하거나 학습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정보를 전달할 때에도 설득할 때에도 효과적이다.


Reference
https://link.coupang.com/a/Tt0wX
당신의 생각을 정리해드립니다:인생을 바꾸는 생각정리스킬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책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정리-5: 목표 정리 (1) | 2023.12.24 |
---|---|
생각정리-4: 시간 정리 (1) | 2023.12.24 |
생각정리-3: 아이디어 정리 (0) | 2023.12.23 |
생각정리-2: 생각정리 툴의 종류와 사용법 (2) | 2023.12.23 |
생각정리-1: 인생을 바꾸는 생각 정리 스킬 (0) | 2023.12.23 |